서울시 청년이라면 무조건 알아야 할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 조건, 혜택, 실제 후기를 최신 정보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지금 확인해보세요.
매달 적금처럼 넣기만 해도 2배로 불려주는 청년 전용 통장이 있다면 믿기시나요?
바로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희망두배 청년통장’ 이야기입니다.
제가 실제로 신청하고 운영 중이라 오늘은 2025년 기준 신청 조건, 혜택, 그리고 주의할 점까지 직접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해보려 합니다.
희망두배 청년통장이란?
서울시가 서울 거주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본인이 매달 저축한 금액에 서울시가 동일 금액을 추가 적립해주는 매칭 저축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 내가 월 10만 원씩 3년간 저축하면 → 총 360만 원
- 서울시가 360만 원 추가 적립 → 총 720만 원+이자 수령 가능!
✅ 은행 이자가 아니라, 실제 현금으로 시에서 1:1 매칭
✅ 목돈 마련, 전세금 준비, 학자금 상환 등 목적에 최적화
가입 조건 (2025년 기준)
| 항목 | 내용 |
|---|---|
| 거주지 | 서울시 거주자 (주민등록 기준) |
| 연령 | 만 18세~34세 청년 |
| 소득 | 본인 소득 월 255만 원 이하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40%) |
| 자산 | 본인 총 자산 2억 원 이하 |
| 근로 여부 | 근로 중, 소득 증빙 필요 |
| 기타 | 기존 유사 통장 가입자 제외 |
📌 직장인, 프리랜서, 알바생 모두 근로소득만 있으면 신청 가능!
📌 부모 소득은 고려하지 않음 → 독립 청년에게 유리
어떤 혜택이 있나요?
- 적립 비율: 1:1 매칭 (월 10만 원 or 15만 원)
- 가입 기간: 2년 또는 3년
- 사용 목적 제한 없음 (단, 중도 해지 시 매칭금 미지급)
- 이자 소득세 없음
| 납입액 | 기간 | 서울시 매칭 | 최종 수령 |
|---|---|---|---|
| 10만 원 | 3년 | 360만 원 | 약 720만 원+이자 |
| 15만 원 | 3년 | 540만 원 | 약 1,080만 원+이자 |
신청 방법은?
- 서울복지포털 접속
- ‘희망두배 청년통장’ 검색 → 모집 공고 확인
- 신청서 및 첨부 서류 작성
- 온라인 또는 주민센터 접수
✅ 모집 시기는 보통 매년 5~6월경
✅ 선정 후 자격 검토 → 최종 대상자 발표
실제 후기: 신청 과정과 느낌
저는 2024년에 15만 원, 3년형으로 신청했어요.
제 소득은 월 210만 원 정도였고 자취 중이라 딱 조건에 맞았죠.
온라인 신청 후 2개월 정도 걸려서 선정 통보를 받았고
서울신용보증재단과 연계해 계좌 개설하고 자동이체만 걸어두면 끝!
지금도 15만 원씩 자동이체되고 있고
잔액을 보면 ‘이거 진짜 된다’는 확신이 듭니다.
주의사항 꼭 확인하세요
- 중도 해지 시 매칭금 지급 안됨
- 본인 명의 통장만 가능 (가족 명의 불가)
- 소득 증가 시 연간 재검토
- 유사 통장과 중복 불가 (예: 청년내일저축계좌)
마무리: 서울 청년이라면 무조건 신청!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내 돈에 시가 돈을 얹어주는 ‘진짜 혜택형 정책’입니다.
조건만 맞는다면 주저하지 말고 꼭 신청해보세요. 저도 3년 뒤 1천만 원 이상 받는 걸 목표로 자동이체 중입니다. 서울 청년이라면 절대 놓치지 마세요!


